文대통령 "사정 급해지니 백신 각자도생" 연일 美 때렸다 - 중앙일보 -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여유가 있을 때는 모든 나라가 협력을 말했지만, 자국의 사정이 급해지자 연합도 국제공조도 모두 뒷전이 되고 국경 봉쇄와 백신 수급통제, 사재기 등으로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 보아오(博鰲)포럼 영상 메시지에서는 “백신 기부와 같은 다양한 코로나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중국 정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문 대통령은 다음달 하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다.
또 코로나19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국민을 위한 타국의 백신 비축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게 적절하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서정건 경희대 교수는 “코로나 방역 실패로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미국이 백신 자국 우선주의를 벌일 거란 것은 이미 예견됐던 일”이라며 “소위 K방역의 성과 때문에 그동안 백신 도입에 소홀하면서 나타난 논란의 원인을 이제와서 미국에 돌리는 것은 외교적으로 올바른 방식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참석,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스탠리 에르크 노바백스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백신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에르크 CEO와의 영상회의에서 백신 도입과 기술이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가 밝힌 9900만명분 백신 도입 물량 중 노바백스 백신은 2000만명분을 차지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1월 20일 오전 코로나19 백신 생산 현장인 경북 안동시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을 시찰한 뒤 간담회에서 백신 제조사 노바백스의 스탠리에르크 대표와 영상으로 대화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에 도입 예정인 코로나19 백신 아스트라제네카를 위탁생산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2021-04-26 09:29:14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NDA0NDE0Nd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QwNDQxNDU?oc=5
52783313043202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