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표 대북정책 윤곽…4년째 공석 북한인권특사 채우나 - 중앙일보 - 중앙일보
최근 완료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 결과에는 현재 공석인 국무부 내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북한인권특사 인선과 관련한 내용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이 3일 전했다. 미국의 대북 정책 운용에서 핵심이 될 '투 톱'에 언제쯤 누가 임명될지를 두고 관심이 모아진다.
① 북한인권특사 '4년째 공석' 깨지나
WP "바이든, 북한인권특사 임명할 것"
2017년 로버트 킹 이후 트럼프 행정부 내내 공석
대북정책특별대표도 관심...동아태 부차관보가 겸직 혹은 새 인물 전임으로 기용 가능성
북한인권특사는 2009년 킹 전 특사 임명 당시 상근직 대사급으로 격상됐다. 청문회 등 상원 인준까지 받아야 하는 자리다.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대사급으로 유지될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미 고위 당국자들이 반복적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는 만큼 굳이 인권 특사의 직급을 낮추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위급 인권 특사를 두는 것 자체가 북한에는 압박이 될 수도 있다.
②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언제쯤? 직급은?
2014년 11월부터 약 2년 동안에는 성 김 주인도네시아 미국 대사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동아시아태평양(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를 겸직했다. 과거 6자회담 때에도 미국 측 수석대표는 차관보급이 맡았는데, 이보다 급이 낮아진데다 전임이 아닌 겸임으로 바뀐 것이다. 대북정책특별대표의 낮아진 위상은 2012년 북‧미 간 2.29 합의가 사실상 엎어진 후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동력이 떨어졌던 오바마 행정부 후반부 상황을 반영하는 현상이기도 했다. 북한이 2·29 합의를 걷어찬 뒤 국무부 내 대북 협상파의 입지는 크게 좁아졌기 때문이다.
같은 해 8월 스티븐 비건 전 대표가 임명됐는데 이례적으로 기업인 출신인데다 대표직만 전임으로 수행했다. 비건 전 대표는 이듬해인 2019년 12월 차관급인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 들어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고 정상 간 친서가 수시로 오가는 등 대북 외교가 활발히 진행되자 전례에 없던 차관급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등장했던 것이다.
일각에선 북한 측 대미 협상을 차관급인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계속 담당하고 미국은 부차관보 겸임 대표를 임명할 경우 북한이 또 '카운터파트 간 급'을 꼬투리잡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다만 북‧미 간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바이든 행정부가 국무부 조직 정비나 인사 조치 정도로 북핵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는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차기 대북정책특별대표에 큰 무게감을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2021-05-03 08:51:19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QG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NDA0OTQ4OD9jbG9jPXJzcy1uZXdzLXRvdGFsX2xpc3TSAStodHRwczovL21uZXdzLmpvaW5zLmNvbS9hbXBhcnRpY2xlLzI0MDQ5NDg4?oc=5
52783341432805
No comments:
Post a Comment